탱화 대웅전 신중탱화
페이지 정보
본문
신중탱화
신중탱화는 대개 화폭을 2단으로 구분하여 윗부분은 제석과 범천을 중심으로 무장하지 아니한 천신을 그리고 아랫부분은 위태 천을 중심으로 무장한 천, 용,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 등 팔부신장을 그린다.
위태천은 보통 날개의 깃이 올라가는 형태의 투구를 쓰고 있으므로 이에 의하여 신중탱화임을 식별하기도 한다
법당에 신중을 모신 단을 신중단, 신중단에는 존상을 모시지 않고 동진보살이나 대범천왕, 제석천왕을 주존으로 한 탱화만을 모시는 경우가 보통이다.
이처럼 신중단을 법당중앙 상단의 부처님 곁에 차려두고 의식을 행하는 것은 신중들이 부처님의 퇴공(退供)을 받겠다는 원을 세웠기 때문이다.
신중탱화에 나타나는 존상의 숫자는 1위, 3위, 39위에서 많게는 104위까지도 있다. 1위만 모신 경우 동진보살만, 3위를 모신 경우 동진보살과, 호계대신, 복덕대신 또는 도량신과 가람신 또는 산신과 용왕이다.
한 축에는 동진보살이 주존이 되고 다른 한 축에는 제석천왕이나 마혜수라천왕이 주존이 되기도 한다.
신중 존상을 탱화로 조성하는 것도 토착화의 일례이다.
우리 나라의 탱화 중에서도 나한도와 함께 신중상들은 해학적이고도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어 불화 제작자들의 감성이 가장 잘 표현되고 있는 불교회화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신중탱화는 대개 화폭을 2단으로 구분하여 윗부분은 제석과 범천을 중심으로 무장하지 아니한 천신을 그리고 아랫부분은 위태 천을 중심으로 무장한 천, 용,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 등 팔부신장을 그린다.
위태천은 보통 날개의 깃이 올라가는 형태의 투구를 쓰고 있으므로 이에 의하여 신중탱화임을 식별하기도 한다
법당에 신중을 모신 단을 신중단, 신중단에는 존상을 모시지 않고 동진보살이나 대범천왕, 제석천왕을 주존으로 한 탱화만을 모시는 경우가 보통이다.
이처럼 신중단을 법당중앙 상단의 부처님 곁에 차려두고 의식을 행하는 것은 신중들이 부처님의 퇴공(退供)을 받겠다는 원을 세웠기 때문이다.
신중탱화에 나타나는 존상의 숫자는 1위, 3위, 39위에서 많게는 104위까지도 있다. 1위만 모신 경우 동진보살만, 3위를 모신 경우 동진보살과, 호계대신, 복덕대신 또는 도량신과 가람신 또는 산신과 용왕이다.
한 축에는 동진보살이 주존이 되고 다른 한 축에는 제석천왕이나 마혜수라천왕이 주존이 되기도 한다.
신중 존상을 탱화로 조성하는 것도 토착화의 일례이다.
우리 나라의 탱화 중에서도 나한도와 함께 신중상들은 해학적이고도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어 불화 제작자들의 감성이 가장 잘 표현되고 있는 불교회화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